우리음악의 가락은 곡선이요 서양음악의 선율은 직선이라는 말들을 한다. 달밤에 대나무 가지 스치는 소리를 연상케 하는 대금소리나 가야금과 거문고의 농현 끝으로 사라지는 여음을 들어보자. 음을 떨면서 흘러내리고 또는 치켜 올리면서 이어지는 모습을 선으로 그어본다면 그것은 곡선의 모습으로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부드러운 곡선은 소리에서 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산천과 지붕의 모습에서 그리고 한복의 소매 끝과 여인네의 둥근 버선코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표현방법에 있어서도 직설적인 표현보다는 완곡한 표현을 즐겨 쓰는데 음악을 포함한 모든 문화현상이 우리가 몸담고 있는 자연환경과 살아가는 모습 속에서 나온 것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현상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부드러운 곡선에서 빚어지는 유장함과 더불어 소리를 꽉 채우지 않는 여백의 여유는 우리음악에서 느낄 수 있는 멋이다. 화성을 배제한 단선율의 선적인 흐름에서 아름다움을 추구한 우리음악은 동양화에서 볼 수 있는 여백의 미를 떠올리게 한다. 이렇게 부드러움과 여백의 미를 갖고 있는 우리소리는 관조와 명상의 세계로 빠져들게 하는데 이에 해당하는 곡들로는 선비음악에 속하는 청성곡, 영산회상, 천년만세, 수제천, 시조와 가곡 등이 있다.
한국음악은 정적인 모습과 동적인 모습을 함께 갖고 있는데 정악은 정적이면서도 장엄한 모습을, 민속악은 애원․처장 하면서도 역동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따라서 한국음악의 아름다움은 여음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곡선의 부드러움, 여백과 느린 속도의 여유로움, 자연그대로의 음색과 자연에 합일하려는 음악정신의 화평함, 다양한 리듬구사와 흥겨운 노래의 신명성, 한과 신명으로 표출되는 비장하면서도 역동적인 아름다움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여음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곡선의 부드러움
2) 여백과 느린 속도의 여유로움
3) 자연그대로의 음색과 자연에 합일하려는 음악정신의 화평함
4) 다양한 리듬구사와 흥겨운 노래의 신명성
5) 한과 신명으로 표출되는 비장하면서도 역동적인 아름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