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편제: 이청준의 연작 소설집인 “남도사람”들 중에 수록된 단편.
임권택 감독의 1993년 영화화(映畵化).
주연: 김명곤(유봉), 오정해(송화), 김규철(동호)
그 당시 서울관객 100만을 넘긴 작품으로 기록됨.
음악은 김수철.
<줄거리>
이년아! 가슴을 칼로 저미는 恨이 사무쳐야 소리가 나오는 법이여..
1960년대 초 전라도 보성 소릿재. 동호(김규철 분)는 소릿재 주막 주인의 판소리 한 대목을 들으며 회상에 잠긴다. 소리품을 팔기 위해 어느 마을 대가집 잔치집에 불려온 소리꾼 유봉(김명곤 분)은 그 곳에서 동호의 어미 금산댁(신새길 분)을 만나 자신이 데리고 다니는 양딸 송화(오정혜 분)와 함께 새로운 생활을 시작한다. 동호와 송화는 오누이처럼 친해지지만 아기를 낳던 금산댁은 아기와 함께 죽고 만다. 유봉은 수리품을 파는 틈틈히 송화에게는 소리를, 동호에게는 북을 가르쳐 둘은 소리꾼과 고수로 한 쌍을 이루며 자란다.
그러나 소리를 들어주는 사람들이 줄고 냉대와 멸시 속에서 살아가던 중 동호는 어미 금산댁이 유봉 때문에 죽었다는 생각과 궁핍한 생활을 견디다 못하고 집을 뛰쳐나가자 유봉은 송화가 그 뒤를 따라갈 지 모른다는 두려움과 소리의 완성에 집착해 약을 먹여 송화의 눈을 멀게 한다. 유봉은 서서히 시력을 잃어가는 송화를 정성을 다해 돌보지만 죄책감 때문에 괴로워하다가 결국 송화의 눈을 멀게 한 일을 사죄하고 숨을 거둔다. 그로부터 몇년 후 그리움과 죄책감으로 송화와 유봉을 찾아 나선 동호는 어느 이름없는 주막에서 송화와 만난다. 북채를 잡는 동호는 송화에게 소리를 청하고, 송화는 아비와 그 똑같은 북장단 솜씨로 그가 동호임을 안다. 그리고 그들은 또다시 헤어짐의 길을 떠난다.
역사적으로 판소리는 한국의 남서부 지역 민중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사랑받아왔다. 이 지역 사람들이 경험했던 집단적인 슬픔이 음악의 형태로 승화된 것이 판소리. 이 영화속에서는 그 몰락해가는 대중 예술의 역사가 떠돌이 예술가들인 주인공들의 삶속에 표현된다. 소리꾼 부녀와 의붓남매의 기막힌 삶, 소리를 통해 자식을 낳고, 그 여식의 아비와 소리를 떠날까봐 눈에 청강수를 부어 장님으로 만들면서까지 소리를 붙잤아두려는 아버지의 이야기. 영화는 판소리가 현대 한국의 문화사 속에서 그것이 차지해온 위상의 변화를 추적하고 있다.
원작자가 굳이 제목을 서편제로 한 이유도 서편제가 한국 사람의 한을 표출시키는 데 더 가깝게 느꼈기 때문이라는 임감독의 설명이 있다.
남도민요 중에서 영화 「서편제」 때문에 더욱 유명해진 노래가 ‘진도아리랑’이다. 눈이 부시도록 아름다운 남도 산하(山河)를 떠돌며 딸을 통해 득음(得音)을 이루려는 집념의 소리꾼 유봉 일가의 한 서린 이야기 「서편제」를 본 사람이라면 돌담 저 멀리 세 개의 까만 점으로 나타난 유봉 일가가 진도아리랑을 부르며 걸어오는 장면을 기억할 것이다.
세마치 장단의 진도아리랑을 부르며 걸어오는 세 사람의 모습이 지치고 찌들은 작은 점에서 신명을 되찾은 활기찬 모습으로 화면 가득히 클로즈업되는 「길게 찍기」장면은 매우 인상적이다. 서편제에서 5분이 넘는 고정된 화면으로 처리된 이 장면에서 효과적으로 쓰인 민요 진도아리랑은 대금 산조의 명인 박종기가 만든 노래로 알려져 있다.
영화 ‘서편제’에 나오는 돌담길은 어디에 있는 길일까? 전남 완도항에서 뱃길로 50리, 45분 가량 걸리는 청산도, 청산도항의 오른쪽 능선에 아스라이 펼쳐진 길이 서편제 영화에 나오는 당리마을 보리밭 돌담길이다. 한국영화 최초로 관객동원 100만명을 넘긴 ‘서편제’의 최고 명장면으로 꼽히는 ‘진도아리랑’ 장면을 이곳에서 촬영했다. 이 황톳길은 농사일에 불편하다는 주민들의 요구로 96년 시멘트로 뒤덮여 자취를 감추는 듯 했지만 임권택 감독의 요청으로 다시 흙길로 돌아왔다.
민요(民謠)
민요는 한 겨레의 인정, 풍속, 생활 감정 따위를 나타내어 민간에 전하여 오는 순박한 노래로 민중 가운데 생성되고 향유되며 전승되어 온 노래이다.
민요는 특별할 재주나 기교가 없이도 이 땅의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만들고 부를 수 있었으며, 그것을 즐기는데도 특별한 격식이 필요한 것이 아니었다. 민요는 집단적 익명성을 바탕으로 생성 유지되어 온 민(民)의 노래(謠)인 것이다.
우리 민요는 대략 200여종이 되며 거의 대부분이 노동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논농사는 무엇보다도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서로의 호흡을 맞추고 노동의 능률을 올리기 위해 많은 노동요가 불리어지게 되었다.
특히, 서부 평야지역을 중심으로 수많은 도작농업 노동요가 불려져 왔으며, 해안과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어업 노동요, 그리고 동부 산악지역을 중심으로 답작 노동요가 불리어 졌다.
민요는 민요의 성격에 따라 토속민요와 통속민요로 구분하며, 지역 혹은 음악적 특징에 따라 경기민요(서울·경기), 서도민요(황해도·평안도), 동부민요(경상도·강원도·함경도), 남도민요(전라도), 제주도민요로 구분된다. 또한 민요의 기능에 따라 노동요(논매는 소리,방아 타령,베틀가, 노젓는 소리 등), 의식요(섣달이나 정초에 지신을 밟고, 성조신께 축원을 올리며, 장례식 때 불리는 만가, 제액초복을 빌어주는 고사 덕담이며 불교 신앙에서 발생한 염불, 탑돌이 노래, 회심곡 등), 유희요(놀이를 할 때, 단순히 노래를 부르는 즐거움을 얻기 위하여 부르는 노래로, 강강술래, 재미있는 설화를 붙인 설화요, 각종 타령 등)로 구분되기도 하고, 향유 계층에 따라 성인요, 부녀요, 아동요 등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민요는 발생 시기, 전파의 범위, 세련도, 전창자의 신분 등의 기준에 따라 토속민요와 통속 민요로 나눈다.
- 토속민요는 비교적 발생 시기가 오래 되었으며, 좁은 지역에서 불리우고, 소박 단순하고, 토속민들에 의해 자생적으로 성장하여 전창되어 온 소리이다. 농부가, 김매는 소리, 그물 당기는 소리, 가래소리, 상여소리, 지경다지기소리 등이 토속민요에 속한다.
- 통속민요는 비교적 발생 시기가 가깝고, 넓은 지역에서 불리우며, 예술적이고 기교적이며, 본래 전문 예능인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불리우다가 일반에 널리 퍼진 소리이다. 보렴, 화초사거리, 닐리리야, 창부타령, 태평가 등이 통속민요에 속한다.
민요의 가창 방식
1 선후창 방식 = 메기고 받는 형식
앞소리꾼: 앞소리(선소리)를 메기면 나머지 사람들이 일제히 뒷소리를 받는 방식. 대부분의 민요는 이렇게 선후창 방식으로 불리어 진다.
2 교환창 방식
연행자들이 한 사람씩 돌려가며 부르거나 집단을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교대로 부르는 방식
3 독창 혹은 제창 방식
이것은 반복하는 후렴구가 없이 가사가 통절 형식으로 짜여진 노래의 가창 방식.처음부터 끝까지 혼자 혹은 여럿이서 함께 부르는 방식
민요의 음계(지역별)
민요는 언어가 그런 것처럼 지방에 따라 특징이 다른데, 그 특징에 따라 지방적으로 볼 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1. 경기민요 서울, 경기도 충청도 일부 | |
특징 |
맑고 깨끗, 경쾌, 음색도 부드럽고 유창하며 서정적 |
음계 |
5음음계의 평조 |
장단 |
굿거리, 세마치, 타령장단 |
종류 |
|
2. 남도민요 전라도, 충청남도, 경상남도 일부 | |
특징 |
경기지방에 비해 발성이 매우 극적, 굵은 목을 눌러냄, 농음과 전타음의 기교가 발달 |
음계 |
골격 음은 미․라․시이며 ‘미’는 굵게 떨어주고, ‘라’는 그냥 평으로 내고, ‘시’는 도에서 꺾어 낸다. 남도소리의 독특한 토리를 육자배기조, 또는 남도계면조라고 부른다. |
장단 |
판소리나 산조의 장단을 사용. 특히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가 많이 사용 |
종류 |
새타령,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농부가, 진도 아리랑, 강강술래 등 |
3. 서도민요 평안도, 황해도 | |
특징 |
5도 위에 3도를 싾은 음계가 많다. 으뜸음 위의 5도 음을 떨어주는 창법이 서도민요의 특징. |
음계 |
5도위에 3도를 쌓은 음계형식 |
종류 |
(평안도) 수심가, 엮음수심가 등, (황해도)긴난봉가, 자진난봉가, 몽금포타령 등 |
4. 동부민요 - 경상도, 강원도, 황해도 | |
특징 |
빠른 장단이 주로 쓰이고 흥겹고 경쾌하다. 단, 같은 동부민요라도 강원-함경지방은 탄식조, 애원조의 노래가 많아 동부민요는 지방에 따라 차이가 종대한다. |
음계 |
주요음은 미 •라 •도이며 대개 라 •미 음으로 마치는데 느리게 부르면 매우 슬프게 들린다. 이들 지역에서 불리는 노래들은 서로 비슷한 음악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메나리토리라고 하는 독특한 음계구조를 갖고 있다. |
종류 |
|
5. 제주민요 - 제주도 | |
특징 |
제주도에서 순수하게 발생한 민요들과 육지의 영향을 받은 민요들이 공존. |
종류 |
주로 토속민요가 주류(예 : 해녀 노젓는 소리, 멸치 후리는 소리 등) 혹은 제주도 소리꾼에게서 부르는 노래 (예 : 오돌또기, 서우제 소리 등)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