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현악기 : 가야금, 거문고, 금, 슬, 당비파, 향비파, 월금
찰현악기 : 해금, 아쟁
타현악기 : 양금
⊙ 오동나무로 된 상자모양을 한 가야금과 거문고와 비슷한 현악기는 서양에 없다. 한국 현악기의 줄은 비단실, 즉 명주실을 꼬아서 만든다. 비단실의 줄을 뜯어서 발생한 아늑하고 아름다운 소리가 오동나무통을 울려서 나오는데, 서양악기와는 반대로 소리 구멍이 울림통 밑에 있어서 그 소리가 방바닥에 반사되어 퍼져나가게 된다.
⊙ 찰현악기인 해금과 아쟁은 악기구조상으로는 현악기이지만 음악 기능상으로는 관악기로 취급되어 왔다. 그 이유는 음의 길이와 강약을 관악기나 목소리처럼 연주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해금과 아쟁이 가야금, 거문고, 양금과 같은 현악기 편에 속하지 않고 피리, 대금과 함께 관악합주 특히 삼현육각(三絃六角)의 필수적인 악기로 편성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1. 거문고(玄琴)
고구려, 왕산악, 검은학, 현학금(玄鶴琴), 옥보고, 오동나무, 밤나무, 6줄, 술대, 명주실, 괘(16개), 역안법
● 거문고는 무릎 위에 놓고 연주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현악기로 궁중음악과 선비들의 풍류방, 전문 연주가의 도주악기로 전승되었다. 오른손으로 술대를 쥐고 현을 쳐서 소리를 내고, 왼손은 공명통 위에 고정된 괘를 짚어 음정을 얻는데 그 소리는 웅심(雄深)한 느낌을 준다.
● 거문고는 다른 나라에는 없는 악기다. 다른 나라에는 중국과 일본의 비파(琵琶), 일본의 샤미센(三味線)처럼 루트(lute) 종류의 악들이 많은데, 우리나라에는 현재 루트 종류의 악기는 도태되어 사용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거문고에 압도되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 우리나라에서는 서역의 루트 종류의 악기를 고구려에서 처음으로 수입해 신라에 전해 주었다. 이것이 향비파(鄕琵琶)인데 가야금, 거문고와 함께 신라의 가장 중요한 세 가지 현악기, 즉 삼현(三絃)의 하나로 애용되었다. 그 후 통일신라 때에 중국화된 루트인 당비파(唐琵琶)도 수입되었다. 지금도 중국과 일본에서는 비파가 중요한 악기로 연주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조에 들어와 차츰 쇠퇴하여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우리음악에서는 비파의 성능이 거문고와 흡사했기 때문에 1930년대까지도 거문고의 연주법에 준하여 연주되었으나 결국 거문고의 위세에 밀려서 사라졌다.
● 거문고처럼 특이한 개성을 지닌 악기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을 것이다. 16개의 높고 낮은 프렛(fret), 즉 괘(棵)가 있는데 제일 높은 것은 6센티미터가 넘는다. 세계 현악기 중 가장 높은 프렛을 가진 것 같다. 단단한 해죽(海竹)으로 만든 볼펜 크기의 술대(匙)를 쥐고 수직으로 내리치면 공명판까지 때려서 상하기 때문에 공명판 위를 보호하는 가죽, 즉 대모(玳瑁)가 있다. 아마도 이렇게 세게 줄을 때리는 악기도 세계적으로 없을 것이다.
● 역안법
거문고의 특징은 음을 낼 적에 기타나 바이올린처럼 줄의 길이만 갖고 음의 높이를 정하는 것이 아니라 줄을 짚는 것과 동시에 옆으로 밀어서 소리를 낸다. 즉 줄의 길이뿐만 아니라 줄을 밀 때 생기는 장력으로 음높이를 조절한다. 이것을 역안법(力按法)이라고 한다. 줄을 밀지 않고 음높이를 줄의 길이로만 정하는 주법을 경안법(輕按法 )이라고 하는데 서양이나 중국, 일본의 루트류 악기는 모두 경안법을 사용할 뿐이다. 그런 점에서 역안법을 사용하는 거문고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악기이고, 역안법을 써서 여음의 변화를 극대화시키는 묘한 악기라고 할 수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여음을 가진 악기들, 즉 줄을 건드렸을 때 나는 소리를 연주자가 변화시킬 수 있는 악기들만 현악기로 간주된다. 이러한 현악기는 대자연과 동화하여 살기 위한 수단으로 음악을 하는 선비들에게 중요한 것이었다. 특히 거문고는 선비들의 악기로 애호되었는데, 그 이유는 이 악기의 여러 가지 매력 때문이었다. 거문고에서 선율을 연주하는 줄은 두 개 뿐이다. 한줄은 가늘고 부드러운 여성적이 소리를 내는 유현(遊絃)이고, 또 한 줄은 지나칠 정도로 굵다. 이것을 대현(大絃)이라고 하는데 하도 굵어 손가락으로 웬만큼 뜯어서는 소리가 잘 나지 않는다. 술대로 위로부터 세게 내리치면 거문고의 줄 소리와 더불어 흡사 마룻바닥이 울리는 듯한 공명통을 때리는 소리가 섞여서 나온다. 게다가 이 두개의 줄과는 전현 다른 네 개의 개방현이 있는데, 이 개방현들이 내는 풍부하고 윤택한 소리는 거문고 음악을 더욱 풍성하게 꾸며 준다.
● 농현(弄絃)
거문고, 가야금, 해금 등 현악기에서 왼손으로 줄을 짚고 본래 음 이외의 여러 가지 장식음을 비롯한 미묘한 소리를 내는 수법을 말한다. 수법에는 요성(搖聲), 퇴성(退聲), 추성(推聲), 전성(轉聲) 등이 있다.
● 추천 감상곡
1) 거문고 독주 <도드리>
2) 거문고 독주 <한갑득류 거문고 산조>
3) 정대석 / 거문고 독주곡 <수리제>
4) 김진희/거문고 독주 <Digital Buddha>
● 정대석
거문고 연주자로, 거문고 음악 작곡가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그가 작곡한 거문고 독주곡 <일출>, <수리재>, <달무리> 는 거문고 독주회에서 빠지지 않고 연주되는 중요한 연주곡목이다.
그는 자신이 작곡한 곡에서 거문고의 새로운 연주기법을 과감하게 모색하는 실험정신을 발휘하고 있다. 그래서 그의 거문고 곡은 전통적이면서도 새롭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 가야금(伽倻琴)
가야국, 가실왕, 우륵, 오동나무, 명주실, 12줄, 안족(雁足), 정악 가야금, 양이두, 산조 가야금, 17현, 18현, 25현 가야금, 발현악기
● 삼국사기 악지에 의하면 가야국의 가실왕이 가야금을 만들고 우륵이 가야금 곡을 많이 작곡했다고 한다. 우륵이 신라로 투항한 후 가야금은 신라의 대표적인 악기로 자리 잡아 삼현 삼죽의 하나로 편성되었다.
● 가야금은 무릎 위에 놓고 손가락으로 줄을 튕겨 연주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현악기이다. 정악 가야금과 산조 가야금 두 가지가 있다. 정악 가야금은 가야금의 원형인데, 달리 풍류(風流)가야금, 또는 법금(法琴)이라고도 부른다.
● 정악 가야금은 통 오동나무 속을 파내어 만든 긴 사각형의 공명통 위에 기러기 발 모양의 현주(絃柱)를 세우고, 명주실을 꼬아 만든 12개의 줄을 걸어 연주를 한다. 공명통에 줄을 걸 때는 정악가야금 특유의 줄걸개, 즉 양이두를 활용한다.
● 산조 가야금은 19세기 후반, 깊고 다양한 농현(弄絃)과 기교적인 빠른 음형이 출현하는 산조(散調)를 연주하기 위해 악기의 구조를 변화시킨 일종의 ‘변형 가야금’이다. 가야금 연주에서 소리의 울림에 천변만화(千變萬化)의 표정을 만들어 내는 것은 왼손 주법이다. 오른손으로 한번 퉁겨 단순하게 사그라질 그 소리를 왼손으로 누르고, 구르고 떨면서 음의 높낮이와 색깔을 변화시킴으로써 소리가 마치 살아 있는 것처럼 만든다. 우리가 가야금소리를 듣고 슬픔을 느낀다거나 즐거움, 아리따움, 편안함 등을 느끼는 것은 바로 왼손 주법에 달려있다.
● 신라의 가야금은 일본에도 소개되었는데, 그 중의 3대가 일본 황실의 유물 수장고인 쇼소잉(正倉院)에 전하고 있다. 이 신라금(시라기고토)에는 화려한 금박 문양이 새겨져 있다. 복판 아랫부분에는 여성을 상징하는 봉황무늬가 맑음, 깨끗함, 아취와 길상(吉祥)을 상징하는 물풀과 국화 무늬에 둘려 싸여 있고, 공명통 뒤판에는 벼 또는 갈대로 보이는 식물이 새겨져 있다.
● 한국 / 가야금(12줄), 중국 / 쟁(13줄), 일본 / 고또(13줄), 베트남 / 단짜인(16줄)
● 가야금 종류의 악기는 중국의 정(箏), 일본의 고토(琴 • 箏), 베트남의 단짜인(Dan Tranh), 몽고의 야탁 등 동아시아에 집중적으로 발달 되었다. 그 중에서 한국, 일본, 중궁 세 나라의 가야금 종류 악기를 비교하자며, 악기구조는 세 나라가 거의 비슷하지만 중국과 일본 악기가 더욱 비슷하고, 한국의 가야금은 그 두 악기와 구별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 악기 이름도 중국에서는 ‘정’, 일본에서는 ‘고토’라고 달리 읽지만 한자로는 똑같이 쟁(箏)이라고 쓰는 데 비하여 한국에서는 독특하게 가야금이라 부른다. 가야금은 12줄인데 중국의 쟁과 일본의 고또는 13줄이다. 그리고 중국과 일본에서는 악기를 연주자 앞에 놓고 연주하는데 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연주자의 무릎에 올려놓고 연주하며, 중국과 일본에서는 손톱을 사용하는데 반하여 가야금은 손끝으로 연주를 해서 연주자의 신체와 악기가 직접 닿게 된다. 또 중국과 일본에 비하여 가야금 연주자는 왼손을 많이 사용한다. 여음의 변화를 훨씬 풍부하게 하기 위해서다. 가야금에서는 한 줄을 눌러서 완전 4도까지 높은 음을 쉽게 내는데, 중국과 일본 악기는 훨씬 팽팽하게 줄을 죄기 때문에 줄을 눌러서 2도 정도밖에 높일 수 없다.
● 추천 감상곡
가야금 독주 <김죽파류 가야금 산조>
황병기 / 가야금 독주곡 <숲>
황병기 / 가야금 독주곡 <침향무 沈香舞>
황의종 / 25현 가야금 합주곡 <꽃잎인연>
● 황병기(1936 - , 서울 출생)
1936년 5월 31일 서울 출생
경기고등학교(55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59년) 졸업
1951년부터 국립국악원에서 가야금 연구(김영운, 김윤덕, 심상건에게 사사)
전국국악콩쿨 2회 특상(54년, 56년)
국악상(65년), 한국영화음악상(73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립국악원, 미 국 워싱턴대학교 강사역임
1964년 이래 유럽, 미국, 일본, 동남아 각지에서 가야금독주
미국(65년), 홍콩(77년), 베를린(85년)에서 레코드 취입
1962년부터 국악기를 위한 음악, 영화음악, 무용음악 작곡
1986년 미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역임, 문화재 전문위원
1951년 6.25 전쟁 당시 부산 피란 시절 가야금을 처음 접한 그는 경기고, 서울대 법대를 졸업했지만 평생 국악인으로 살아왔다. 2007년 5월에 미국 워싱턴 스미소니언 박물관 초청음악회를 비롯해 보스턴, 뉴욕 등에서 순회공연을 했다. 미국에서 그의 음악은 “초스피드 시대의 정신적 해독제”(스테레오 리뷰)라는 평을 들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그는 “누구나 여행을 가면 좋은 호텔보다 그곳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을 보고 싶어 한다”며 우리 음악도 서양 것을 흉내 내기보다는 어디에도 없는 음악을 창조하고 연주해야 한다“ 고 말했다.
가야금 명인 황병기는 전통의 파괴자다. 그러나 그의 곡은 어느 순간에 고전이 된다. 그의 음악은 한국 전통음악의 어휘를 초월하지만 언제나 한국적이다. 결코 타협하지 않는 한국적 섬세함이 담겨있지만 세계의 청중에게도 크게 어필한다. 영국 셰필드대 음악학 교수인 앤드루 킬릭 씨는 최근 황병기의 음악에 대해 ‘패러독스(모순)에 대한 명상(Meditation on a Paradox)’이라고 표현했다. 그렇다. 1962년 국내 최초의 현대 가야금 독주곡 ‘숲’을 작곡하고 1975년 전위예술을 표방한 ‘미궁’을 작곡한 그의 음악은 ‘모순’이라는 말과 잘 어울린다. 창조와 파괴, 현대와 고전, 동양과 서양 중 어느 한쪽 시각만으로는 그의 음악세계가 잘 설명되지 않기 때문이다.
● 숲
숲은 황병기의 최초의 가야금 독주곡이자(1963년), 우리 음악사상 처음으로 창작된 현대 가야금 작품이다. 첫 작품이면서도 작곡자의 예술적인 천품을 유감없이 발휘한 걸작이다.
1장 「녹음」은 숲에 대한 명상적인 노래로 아악풍의 유현한 가락으로 이루어진다.
2장 「뻐꾸기」는 짧은 도입부에 이어 뻐꾸기 소리가 두 번 나오면 민속적인 리듬형
(중중모리)이 장구로 제시되면서 흥겨운 무곡풍의 가락으로 전개된다.
3장 「비」는 뚝뚝 떨어지는 빗방울 소리로 시작하여 나뭇잎과 빗방울의 대화가 급속한 템포의 리듬(단모리)을 타고 고조되어 간다. 여기서 가야금과 장구의 다채로운 음색 변화는 빗소리의 이미지를 효과 있게 나타내고 있다.
4장 「달빛」은 다시 아악풍의 가락이 한가롭게 거니는 듯한 템포의 4박자로 조용히 흐른다.
● 침향무
1974년에 발표된 가야금독주곡으로 <침향무>는 침향이 서린 속에서 추는 춤이라는 뜻이다.
서역적인 것과 향토적인 것을 조화시킨 이 곡은 불교음악의 범패에 기초한 음계로 되어있으며, 연주기교도 분산화음을 쓰는 등 새로운 기법이 많다.
장구 연주도 단순한 반주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으로 두드린다든가 채로 나무통을 치는 등 새로운 기교로 특이한 효과를 내고 있다.
● 이성천(李成千 1936. 5. 28 - 2003. 9. 26)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1965)와 동대학원 국악과(1976)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를 수료(1986)했다.
서양음악과 국악 양쪽을 두루 섭렵해 이 시대에 앞서 호흡할 수 있는 현대적이고 미래적 국악창작에 매진했으며 시적이고 표제음악의 성격이 강한 작품 세계를 펼쳐왔다. 300여 편의 독주곡과 성악곡, 기악곡, 실내악곡, 관현악곡의 다양하면서도 풍부한 작품으로 ‘다작의 작곡가’이자‘창작국악사’로 널리 알려졌다.
1986년 21현 가야금을 개발하여 연주기법의 개발에 역점을 둔 곡을 작곡하는 등 실험정신이 강한 작곡가로 ‘새로운 변경을 끝없이 모색한 작곡가’, ‘국악연주회의 표준 레퍼토리를 정착한 작곡가’등으로 평가받고 있다.
<가야금 독주곡 제1번>, <놀이터>, <숲속의 이야기>, 합주곡 5번 <타령에 의한 전주곡>, 21현 가야금 독주곡 <바다>, 중주곡 23번 <먼 훗날의 전설>
가야금을 위한 모음곡 <놀이터>
독주곡 18번 <두 음을 위한 오현금>
독주곡 33번 <바다>
21현금, 플륫, 클라리넷을 위한 <함경도 풍구소리>
중주곡 23번 <먼 훗날의 전설>
3. 금(琴)
● 금(琴)은 오동나무와 밤나무를 앞 , 뒤판에 대서 상자식으로 짠 공명통에 현을 걸어 연주하는 현악기이다. 금은 가야금의 안족(雁足)이나 거문고의 괘(棵), 슬의 현주(絃柱) 등을 사용하지 않고, 공명통에 열세 개의 지판(指板)을 표시하고 그것을 짚어 음정을 낸다. 그 지판을 휘(徽)라고 하는데, 금이나 쟁 종류의 악기 중에서 이렇게 휘를 가진 것이 칠현금뿐이기 때문에 일명 휘금(徽琴)이라고도 한다.
● 슬(瑟)은 중국의 ‘정(箏)처럼 생겼다. 공명통 위에는 가야금 안족이 아니라 쟁의 현주(絃柱) 같은 괘를 올려 25현을 거는데, 12율이 두 옥타브로 배열되고 옥타브 사이에는 실제 연주에 사용하지 않는 윤현(閏絃)이 있다. 공명통은 대아쟁 만큼이나 크고, 공명통 위에는 연두색 바탕에 주황색, 흰색, 검은색 등 눈에 띄는 색으로 구름과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학을 화려하게 그려 넣어 이색적이다.
5. 당비파(唐琵琶)와 향비파(鄕琵琶)
● 비파는 꼭지 부분이 좀 갸름하게 생긴 배(梨)를 반족으로 잘라 놓은 것 같은 공명통에 넉 줄 또는 다섯줄의 현을 걸어 술대나 작은 나무판으로 현을 튕겨 연주하는 현악기다. 비파라는 이름은 악기를 연주할 때 손을 앞으로 밀어 소리내는 ‘비(琵)’와 끌어당겨 소리내는 ‘파(琶)’의 의성어(擬聲語)를 따라 명명한 것이라고 한다.
● 비파는 향비파와 당비파 두 종류가 있다. 당나라 때에 우리나라에 들어온 당비파는 ‘굽은 목’에 4현이며 향비파는 ‘곧은 목’에 5현이다.
● 월금은 공명통이 보름달처럼 생겼고, 비파처럼 목의 지판(指板)을 짚고 현을 손으로 퉁겨 연주하는 악기다. 중국 진(晉)나라 사람 완함(阮咸)이 만들었다 해서 완함이라고 부른다. 옛 기록에는 ‘월금’보다 ‘완함’이라고 표기된 경우가 많고, 조선시대의 기록에는 월금이라고 했다. 20세기 이후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7.해금(奚琴)
● 해금은 활대에 매단 털이 명주실로 만든 현을 마찰시켜 진동을 일으키고, 이것이 원산과 감자비, 주아 등의 여러 장치를 거쳐 울림통에 전달되어 소리가 나는 두 줄짜리 찰현(擦鉉) 악기다.
● 해금은 몽고 지방에 살던 해(奚)라는 종족이 애호하던 악기였다. 당서(唐書) 중 북적전(北狄傳)에, 해는 돌궐(突厥)과 동족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돌궐은 6세기경 몽고와 중앙아시아에 대제국을 세운 유목민이다. 따라서 해금의 선조 악기는 중앙아시아에서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에 중국의 송나라에서 해금이 처음으로 전래되어 오랜 세월을 두고 토착화되었다.
● 해금은 독주 악기로 드물게 사용된다. 구중궁궐의 장엄한 의식에서부터 민중의 신명 나는 마당놀이에 이르기까지 해금처럼 널리 쓰여 온 악기도 드물지만, 합주로 편성될 뿐 독주로는 별로 연주되지 않고 있다.
● 해금의 공명통은 큰 대나무의 밑동을 끊어서 만들고, 줄을 지판(指板)에 짚지 않고 왼손으로 움켜잡아서 당겼다 늦추었다 하면서 연주하기 때문에, 그 음질이 이상하게 매콤한 매력을 지닌다. 또한 명인의 연주를 들으면, 해금의 미묘한 음의 변화는 어느 악기로도 따를 수 없는 절묘함을 느끼게 한다. 해금은 줄이 두 개 밖에 없지만, 줄을 왼손으로 거머쥔 채 죄고 풀어서 농현(弄絃)하기 때문에 음을 섬세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세계적으로 이처럼 소리 하나하나를 손으로 빚어내는 악기는 없을 것이다.
● 추천 감상곡
1. 이준호 작곡/ 그 저녁 무렵부터 새벽이 오기까지 해금:정수년
2. 류형선 작곡/ 헤이야 연주 : 강은일 해금플러스
3. 황의종 작곡/ 섬진강 1장, 2장 해금:정수년 가야금:민의식
8. 아쟁(牙箏)
● 아쟁은 가야금처럼 옆으로 뉘어 놓고 해금처럼 현을 활로 문질러 소리 내는 현악기이다. 울림통은 가야금보다 크고 현이 굵어, 나지막하고 어두운 소리를 낸다. 낮은 음역에서 울리는 아쟁의 소리는 궁중 음악 합주의 장중함을 돋워준다. 민속 음악 합주 및 독주에는 몸집이 작은 산조아쟁이 쓰인다.
● 아쟁은 중국과 일본에는 없다. 아쟁은 악기의 구조는 가야금과 같지만 활을 사용해서 소리를 내기 때문에 줄과 줄 간격이 넓고 줄의 수도 적다. 아쟁을 연주할 때는 개나리 나뭇가지를 사용하는데, 나뭇가지 활을 쓰는 예도 아주 희귀할뿐더러 나무 활대로 현을 문지를 때 나는 거친 소리를 그대로 사용하는 점도 특이한 경우다.
● 아쟁으로 정악을 연주할 때는 합주의 아래 음역을 받쳐주는 장중한 소리를 내며, 민속악 연주에서는 시나위 합주나 아쟁 산조 독주에 사용되는데 그 소리는 애절하여 심금을 울린다.
● 추천 감상곡
1. 아쟁산조 중모리
2. 박대성 작곡/산조아쟁 독주곡 ‘세월’
3. 박종선 작곡/아쟁합주곡 ‘춘몽’
4. 몽골/마두금 연주
9. 양금(洋琴)
양금은 아래가 넓고 위가 좁은 사다리꼴 모양의 네모진 오동나무 통 위에 철사를 걸어 연주하는 ‘철사금(鐵絲琴)’이다. 서양의 현악기라는 뜻의 양금(洋琴), 서양금(西洋琴), 구라금(歐邏琴), 구라철사금(歐邏鐵絲琴), 구라철현금(歐邏鐵絃琴)이라고도 한다. 18세기부터 줄풍류와 가곡, 시조 등의 노래 반주에 간간이 사용되면서 ‘풍류 악기’로 전승되었다. 양금은 자그마한 악기를 마주하고 앉아 가느다란 양금 채를 쥐고 한 음씩 또박또박 음정을 짚어 내는 연주 자세나, 맑은 음색을 지녀 여성적인 이미지를 담고 있다.
감상
1. 양금, 단소 이중주 / 세령산